IT 정보/CCNA/CCNP

[ccna/ccna자격증/ccna학원/ccnp]OSPF 라우팅 정보 확인

김윤석 2007. 12. 12. 18:35

OSPF는 단계별로 init - 2way - exstart - exchange - loading - full 순으로 진행


exstart 단계까지 hello 패킷을 사용하고, 그뒤에 OSPF 데이터베이스를 주고 받을 때는 DBD(DataBase Description), LSR(Link-State Request), LSU(Link-State Update), LSAck(Link-State Acknowledgment)패킷을 사용


#debug ip packet

Ip packet debugging is on

=> OSPF 패킷의 발신지 주소, 수신지 주소가 어떤것이 되는지 확인


#debug ip ospf adj

OSPF adjacency events debugging is on

=> 라우터 서로의 관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


- ..... ,sending broad/multicast : hello 패킷을 보낸다.


- ....., state 2WAY : 서로가 hello 패킷을 주고받으면, 위와같이 2way 상태로 된다. 2way는 이웃이 되었다는 뜻이다.


- ......, exstart : 이웃과 이웃 사촌의 차이는 옆입이라서 얼굴은 아는데, 이름도 모르면 이웃. 라우틍 프로토콜도 알면 이웃 사촌.

이웃 : Neighbor = 2way 단계

이웃사촌 : Adjacency = Exstart = 서로 데이터베이스를 주고 받을수 있는 단계

여기까지는 hellow패킷을 사용. 이후로의 hellow 패킷은 OSPF 데이터베이스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상대라우터의 안부를 묻기 위해 사용된다. 흔히 keepalive 메시지이다.

이더넷이나 시리얼에서는 10초마다 hello 패킷을 보낸다.


- ......, EXCHANGE : 이웃 사촌관계가 되어, 서로 OSPF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여기부터는 DBD, LSR, LSU, LSAck 패킷을 사용


- ......, state FULL : 완료~~


출처http://www.it-bank.or.kr/cisco/main_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