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파티션 분할 표준...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
Linux Partition Guideline
----------------------------
/
LINUX의 가장 중요한 partiton으로, 40MB 정도면 충분하다.(보통 약 40%정도만 사용한다.)
/usr
LINUX application이 설치될 directory로, 500∼600MB 정도면 충분하다. 그러나 X Window와 KDE 같이 사용한다면 700∼800MB 정도가 필요하다.(package 설치 이후에 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많은 공간을 사용한다.)
/tmp
여러 application이 임시로 사용되는 공간으로, 100∼200MB 정도가 적당하다.
/var
LINUX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간으로, 개인 사용자라면 100MB 정도, 업무용이라면 200MB 정도가 필요하다. 만약 mail server의 기능으로 사용된다면 더 많은 공간이 확보돼야 한다.
/home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이다. Web service를 한다면 좀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며 FTP service 한다면 추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단지 web service로 사용된다면 200MB 정도가 적당하다.
/var/lib
mySQL이나 PostgreSQL과 같은 database를 사용할 때 필요한 공간이다. 이 공간은 얼마나 많은 data를 다룰 것인지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데, 개발자라면 100MB 정도면 충분하다. 그러나 service용이라면 data양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wap
가상 memory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설치한 컴퓨터가 가진 물리적인 memory의 2배 크기가 적당하다.
추천학원:
http://www.it-bank.or.kr/master/linux_main.htm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리눅스/LIN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