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LINUX/리눅스학원]VNC 서버 설치 및 실행




VNC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rpm -qa | grep vnc-server

vnc-server-3.3.3r2-47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RPM 으로 설치

# rpm -Uvh vnc-server-3.3.3r2-47.i386.rpm

# vi /etc/sysconfig/vncservers -> 제일아래줄에 다음을 추가

VNCSERVERS="1:root"

비밀번호 설정

# vncpasswd

Password: 비밀번호
Verify: 비밀번호재입력

vnc서버 구동 및 확인

# /etc/init.d/vncserver start

VNC server를 시작합니다 : 1:root [확인]

# /etc/init.d/vncserver status

Xvnc (pid 26543 23554 25234)가 실행되고 있습니다..

루트로 접속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파일명 수정

# mv /etc/securetty /etc/securetty.old

시스템 다시 시작했는데도 vnc서버가 자동으로 시작하지 않는다면 chkconfig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팅할때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한다.

# chkconfig vncserver on

또는

# ntsysv

vncserver 체크

풀화면 보게 하기

# vi /root/.vnc/xstartup

unset... -> 주석이 없는지 확인
exec ... -> 주석이 없는지 확인

5901 포트를 열어준다.

# vi /etc/services

vncserver 5901/tcp

입력한다.

사용자 컴퓨터에 VNC Viewer 설치

자료실(Download)에서 TightVNC 프로그램 다운로드



출처 : http://www.it-bank.or.kr/master/linux_main.htm
Posted by 김윤석

카테고리

놀며즐기고 공부하기 (685)
 IT 정보 (653)
 재테크 (0)
 엔터테이먼트 (11)
 인터넷마케팅 (0)
 사이트 추천 (1)
사이드바 열기